728x90
반응형
aws를 예전에 배웠는데 window에서 putty로 접속했었다!
지금은 mac으로 ec2에 연결시켜보려고 한당
1. 회원가입
AWS 회원가입과 관련한 것은 따로 정리하지 않겠다! 그냥 프리티어로 하면 된다!
2. EC2 인스턴스 생성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Amazon Linux를 사용하였다.
2-1. 키 페어 생성
'새 키 페어 생성'을 눌러 키를 생성하면 된다. (여기서 ppk는 putty에서만 열 수 있지만, pem은 mac 터미널로도 열 수 있다고 알고 있다.)
3. 인스턴스 보안(인바운드, 아웃바운드)
네트워크 설정에 보안부분에서 추가할 것이 있다.
참고 : 보안그룹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4. 터미널 실행
먼저 키가 있는 폴더로 이동한다.
chmod 600 키페어이름
* chmod 400도 가능
(chmod 600 : 읽기, 쓰기 권한 / chmod 400 : 읽기 권한)
ssh -i 키페어이름 ec2-user@Public IP 주소
Yes로 답한다.
그럼 접속 성공!
그리고 나는 git clone을 통해 프로젝트를 EC2로 받아서 실행하였다.
build 후 생긴 .jar 파일을 실행해서 만약 성공한다면 이제 접속해보면 된다.
로컬 브라우저에서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v4 DNS값과 포트 번호를 통해서 접속하면 된다.
나는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지만, 각 github에 있는 파일에 따라 다르게 열릴 것이다! (혹시나 해서 적어봄)
728x90
반응형
'Tech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Spring Boot] S3 구성 (Mac) (0) | 2024.08.09 |
---|---|
[AWS][Spring Boot] RDS 구성 및 사용해보기 (Mac) (0) | 2024.08.07 |
[AWS][EC2] 보안 그룹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0) | 2024.08.03 |
[CI][Gradle] GitHub Actions에서 Gradle Build 가볍게 하기 (0) | 2024.04.26 |
[CI/CD] 민감정보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application.properties) (0) | 2024.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