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gorithm/코딩테스트 (Python)

[백준][10431번] 줄세우기

by 싱브이 2023. 12. 26.
728x90
반응형

문제

초등학교 선생님 강산이는 아이들을 데리고 단체로 어떤 일을 할 때 불편함이 없도록 새로 반에 배정받은 아이들에게 키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한다. 번호를 부여할 땐 키가 가장 작은 아이가 1번, 그 다음이 2번, ... , 가장 큰 아이가 20번이 된다. 강산이네 반 아이들은 항상 20명이며, 다행히도 같은 키를 가진 학생은 한 명도 없어서 시간이 조금 지나면 아이들은 자기들의 번호를 인지하고 한 줄로 세우면 제대로 된 위치에 잘 서게 된다.

하지만 매년 첫 며칠간 강산이와 강산이네 반 아이들은 자기가 키 순으로 몇 번째인지 잘 알지 못해 아주 혼란스럽다. 자기 위치를 찾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강산이는 특별한 방법을 생각해냈다.

우선 아무나 한 명을 뽑아 줄의 맨 앞에 세운다. 그리고 그 다음부터는 학생이 한 명씩 줄의 맨 뒤에 서면서 다음 과정을 거친다.

  • 자기 앞에 자기보다 키가 큰 학생이 없다면 그냥 그 자리에 서고 차례가 끝난다.
  • 자기 앞에 자기보다 키가 큰 학생이 한 명 이상 있다면 그중 가장 앞에 있는 학생(A)의 바로 앞에 선다. 이때, A부터 그 뒤의 모든 학생들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한 발씩 뒤로 물러서게 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결국 오름차순으로 줄을 설 수가 있다.

아이들의 키가 주어지고, 어떤 순서로 아이들이 줄서기를 할 지 주어진다. 위의 방법을 마지막 학생까지 시행하여 줄서기가 끝났을 때 학생들이 총 몇 번 뒤로 물러서게 될까?

 

 

 

 

내 생각

다른 문제 풀다가 넘 안풀려서 넘어온 문제.. 문제는 길지만 편안한 문제였다.

 

우선 아무나 한 명을 뽑아 줄의 맨 앞에 세운다. 그리고 그 다음부터는 학생이 한 명씩 줄의 맨 뒤에 서면서 다음 과정을 거친다.

  • 자기 앞에 자기보다 키가 큰 학생이 없다면 그냥 그 자리에 서고 차례가 끝난다.
  • 자기 앞에 자기보다 키가 큰 학생이 한 명 이상 있다면 그중 가장 앞에 있는 학생(A)의 바로 앞에 선다. 이때, A부터 그 뒤의 모든 학생들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한 발씩 뒤로 물러서게 된다.

자세한 설명은 주석에 있지만, 문제 자체가 그냥 버블정렬(Bubble Sort)를 기이이일-게 풀어서 써 놓은 것이다!

그러니까 결론은 알고리즘 공부 더 열심히 하자,,

 

 

내 코드

P = int(input())
for _ in range(P):
    heights = list(map(int,input().split()))  # 키 정보 입력, heights[0]은 테스트 케이스 번호
    answer = 0  # 각 테스트 케이스에서의 물러난 수
    # 버블소트: 키 순서대로 정렬
    for i in range(1, len(heights)-1):
        for j in range(i+1, len(heights)): # i 뒤에 애들과 전부 비교
            if heights[i] > heights[j]:  # i가 더 크면
                heights[i], heights[j] = heights[j], heights[i]  # 자리 바꾸기
                answer += 1 # 물러난 수 증가
    print(heights[0], answer)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