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프로젝트에서 진행했던 거에 대해서 기록으로 남겨야 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KT의 방침으로 git으로 공유를 못하기 때문에 노션과 내 머릿속과 private repogitory에만 있었음)
빅 프로젝트에서 진행했던 것이 많기에 작성하지 않으면 날라갈거 같아서 아까웠다!!! 순서는 뒤죽박죽이 되겠지만 지금이라도 다 작성해야지!
우리는 자유주제를 고르다가 오랜 토론 끝에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고, KT 네트워크 부서의 주제를 받아서 진행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우리가 만든 웹 프로젝트는 'AICI - tm 업무 자동화 시스템' 이다.
제목 : AICI - tm 업무 자동화 시스템 (KT 네트워크 운용부서 AI 자동화 웹 페이지)
내용 : KT의 네트워크 운용 부서에서 제공한 주제로 고객에게 수리확인 전화 자동화와 사외공사자로부터 공사접수를 자동화하는 웹페이지이다. 페이지의 구성은 네트워크 부서의 직원만 접근할 수 있는 VOC 페이지와 사외공사자가 접수할 수 있는 공사 페이지 두 개로 구성된다.
프로젝트 인원 : 7명 (AI 3명/ 웹 개발 4명)
기간 : 6/14 ~ 7/6
나의 역할 :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git 관리
내가 구현한 기능 :
- 공사접수현황과 voc 현황등을 excel로 export하는 기능
- 공사접수현황과 voc 현황을 시각화하는 그래프 api
- 스케줄링 : 공사완료 후 30일이 지난 접수현황은 삭제, voc현황이 최종완료 되었으면 1일 뒤 삭제
- 문자 메시지 API : 수리현황이 수리완료, VOC현황이 확인전이면 자동으로 고객에게 문자 메시지 발송
- voc 자동화 : VOC현황이 추가조치필요 상태이면 내용 업데이트해서 목록에 추가
- voc 전송 수동 : 수리완료된 건에서만 체크박스로 선택하여 수동으로도 문자 전송 가능하게 함.
- 페이지네이션
- 자동입력 : 사외공사자가 공사를 접수할 때 부서와 전화번호 그리고 회사 등은 자동입력
- 공사접수확인 자동화 : 공사기간이 지난 경우 공사완료로 변경
- 최신글 자동 정렬
- 검색기능 : 공사 기간에 따라 확인할 수 있는 검색기능 제공(필터링기능)
-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 user에 따라서 접근 가능한 페이지 구분
이 기능을 구현한 방법(Django)과 발생했던 오류(기타)는 차근차근 글을 작성할것이다!
팀에서 나의 역할은 웹 개발, 그 안에서도 백엔드와 데이터베이스였다.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었기에 백엔드를 다루는것이 처음이었지만 하고 싶다고 했다. 나의 웹 개발 경험은 학교 실전 프로젝트에서의 경험과 에이블 스쿨에서 다뤘던 웹 경험이 끝이었기에 두근거린 마음으로 진행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팀원 중에 웹 경험을 가져본 사람이 없었다..! 단 한명도,, 그리고 수업에서 다뤘던 내용도 이해가 잘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래서 유일하게 경험이 있는 내가 웹 개발 팀장을 맡게 되었다. I can do.. 첫 시작은 늘 자신있었쥐..팀장의 무게가 이렇게 무거울줄야,,
처음 개발팀에서는 프론트 2, 백엔드 2로 나눴었다. 그 때 팀원들은 프론트와 백엔드의 경계도 잘 모르는 상태였다. 개발을 3주안에만 끝내면 되었기에 차근차근 알려주면서 윈윈 해야겠다! 생각하고 천천히 시작했다! 근데 알고보니 개발을 2주 안에 끝내야 했다..ㅎ
그렇게 나의 역할은 풀스택이 되었다.
'Add, > KT 에이블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al Project] 마지막 빅 프로젝트 (2) (0) | 2023.12.20 |
---|---|
AI Python 라이브러리 (넘파이 / 판다스) (0) | 2023.10.10 |
데이터 분석 및 의미 찾기 - 데이터 분석 (이변량 분석/seaborn 라이브러리) (1) | 2023.10.07 |
데이터 처리 - 모델링을 위한 전처리 (결측치 / 가변수화 / 스케일링) (1) | 2023.10.06 |
데이터 처리 - 데이터구조 만들기2 (데이터 분석 방법론 / 시각화 라이브러리 / 단변량 분석) (1) | 2023.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