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코드를 변경하고 재시작 후 접속하니, 200 상태 코드가 아닌 304 상태 코드가 나오는 것을 확인했다.
304 Status란 ?
"Not modified" = 수정할 내용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원이 변경되지 않았으니까 요청된 리소스를 서버에서 재전송할 필요가 없는, 클라이언트에 캐시된 자원을 사용하도록 권하는 상태이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request 할 때, 마지막으로 변경된 이미지, 파일등의 정보를 포함하는데, 정보들을 비교하여 같으면 304 상태 코드로 응답한다. 200 상태 코드는 기존의 파일을 삭제하고 새로운 파일로 대체/캐시하게 된다.
쉽게 말해서 캐시가 쌓여 그렇다! 해결방법도 간단하다. 캐시를 지워주면 된다!
해결 방법 1
캐시 직접 지우기
브라우저 내 캐시를 직접 지워주면 된다. 캐시는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에서 지울 수 있다!
지운 다음 새로고침하면 아주아주아주 200코드가 잘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결 방법 2
코드 적용하기
<meta http-equiv="Cache-Control" content="no-cache, no-store, must-revalidate">
<meta http-equiv="Pragma" content="no-cache">
<meta http-equiv="Expires" content="0">
728x90
반응형
'삽질 좋아 > 오류 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messages.properties 인코딩 오류 해결 (Mac) (0) | 2024.01.29 |
---|---|
[Spring][오류 해결] @PathVariable name 생략 (0) | 2024.01.01 |
[Error] Kubernetes 설정(master) 오류 해결 (0) | 2023.12.13 |
[Vagrant] vagrant up 실행 오류 해결 (1) | 2023.12.08 |
[스프링부트 에러] Error starting ApplicationContext. To display the condition evaluation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 (0) | 2023.11.26 |
댓글